본문 영역
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이청편
- 2014-09-01
- 634 Views
- 연구/논문
나의 아버지 이우공(??公) 이청 (운현궁 종손) 이 글은 나의 아버지 이우공에 대한 것으로, 개인적인 이야기 이기 때문에 나 자신을 ‘저자’로서가 아니라 ‘나’로 칭하고 이우 공에 대한 호칭도 아버지라고 할 것이다. 아버지는 1922년 6월 그가 7학년이 되었을 때, 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오영섭편
- 2014-09-01
- 368 Views
- 연구/논문
고종의 잠재적 대안자로서 일생을 살아간 이준용 오영섭 (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연구교수) 1 현임 통치자의 잠재적인 대안자 한국사에서 197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의 시기는 전근대사 회에서 근대사회로 옮겨가던 사회변동기였다. 당시의 문명사 적 전환기를 살아간 한국인들 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은정태편
- 2014-09-01
- 389 Views
- 연구/논문
이재면(?載冕 , 1845~1912)의 생애 - 관직을 중심으로 한 연보(?譜) 은정태 (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) 머리말 이재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. 아버지 흥선대원군은 말할 필요 없이 한말 정계의 중추였다. 반면 이재면은 아버지 흥선대 원군의 정치적 야심으로 다시 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연갑수편
- 2014-09-01
- 370 Views
- 연구/논문
흥선대원군 이하응과 그의 시대 연갑수 (서울역사박물관) 1 1866년(병인양요)에는 프랑스가, 1871년(신미양요)에는 미국이 조선을 침략함으로써 작은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. 1876 년에는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하였고, 1882년 이후 미국, 영국, 독일, 러시아, 프랑 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김문택편
- 2014-09-01
- 453 Views
- 연구/논문
운현궁의 가계승계와 그들의 묘비(墓碑) 김문택 (서울역사박물관) 1 그의 본가는 운현궁(雲峴宮)이 되었고 이 곳은 임금의 잠저 (潛邸)로서 세상에 그 명성을 높이게 되었다. 나타난 가계계승 인식에 차이가 있게 된 것이며, 이러한 점은 실재 ‘봉사(奉祀)’의 문제와 겹치 -
서울역사박물관 논문도록_조선미편
- 2014-09-01
- 467 Views
- 연구/논문
초상화에 나타난‘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’ 조선미 (성균관대학교 교수) 1 필자의 논문에서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와 아울러 후손들의 초상화작품들을 상용형식(像容形式)과 표현기법(表現技法)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과 아울러 조선 시대 초상화사에서의 위치와 회화사적